본문 바로가기
알면 좋구 몰라도 그만인 상식/나만 아는 상식

[재해] 태풍에 대비하는 방법 및 대처법

by Good-Wealth-Herald 2023. 5. 22.

태풍은 강풍을 비롯하여 풍랑, 호우, 폭풍, 해일 등의 다양한 현상을 동반해요. 또한 강한 강풍은 창문이나 지붕, 간판 등의 파손을 가져오고, 이는 지나가는 행인이나 주차되어 있는 차량 파손 등의 2차 피해를 가져오게 되죠. 강풍뿐만이 아닌 호우는 침수의 원인이 돼요. 여러 경험과 정부에서 내놓은 피해 지침을 통해 태풍에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매년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통한 체크포인트

우선 강풍에 대비하세요. 강풍으로 인해 창문, 지붕, 담벼락 파손으로 인해 매년 인명피해가 일어나고 있어요. 비닐하우스 등의 파손은 피할 수 없는 피해 중에 하나예요. 강, 하천 인근 지역은 범람에 대해 대비하셔야 해요. 강력한 비바람은 낙하물, 잔해물을 만들어 매년 홍수시 수많은 인명피해를 만들어 내고 있어요. 나무들의 유실은 그 방향을 예측할 수 없기에 항상 주의해야 해요. 평소 인근 전신주, 전봇대 등 불안정해 보이는 대상물이나 현수막 등도 피해의 주범들 중 하나예요. 불법건축물 등의 붕괴도 많은 피해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강풍에 대비하는 방법이 뭘까요?

태풍시 가장 중요한 건 가급적 집 안에 머무르시는 게 좋아요. 집 안에 있으면서 지붕, 간판, 창문 등 확인하는 작업을 해야 해요. 특히 거실, 방 창문의 상태를 확인하셔야 해요. 창문 파손 예방은 창문과 창틀 사이 공간에 틈이 있나 없나 가 매우 중요한 사항이에요. 손으로 흔들어 봤을 때 흔들림이 심하거나 소음이 심할 때 파손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조치가 필요해요. 헝겊이나 스펀지, 신문지 등을 사이틈에 끼워서 흔들리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 주세요. 일반 상식에 창문에 신문지를 붙이고 청테이프(클리어테이프 등)로 X자로 붙이는 등의 조치를 많이 해요. 하지만 사실 창틀의 흔들림을 잡아 주는 게 훨씬 효과적이라는 사실 잊지 마세요. 막상 강풍이 심하다면 집 안에서 최대한 창문 등에서 멀리 떨어져 집 안 안쪽으로 이동해 있을 것을 추천해 드려요. 

 

포인트: 창문 틈새에 헝겊 등으로 빈틈 채워주세요. 태풍시 강풍이 심하다면 집 안쪽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 주세요. 

 

 

침수에 대비하는데 뭘 확인해야 하지?

집 안의 하수구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해야 하고 막힌 곳이 있다면 사전에 전문가 등을 통해 수리를 해 놓아야 추후 피해를 예방할 수 있어요. 태풍시 소방서 출동 중 다수가 바로 하수관 역류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빌라 지하주차장이나 건물 등에 미리 모래주머니, 물막이 등을 통해서 물이 들어올 수 있는 길목을 미리 막아 두는 게 좋아요. 그러기 위해서는 모래주머니 등을 미리 준비해 둘 필요가 있어요. 거주지나 사무실 등의 건물에 이러한 장비들이 잘 구비가 되어 있나 미리 확인해 보시거나 관리자들에게 요구하세요. 

포인트: 배수구, 하수구 등을 미리 확인하여 하수관 막힘 및 역류에 미리 대비해 주세요. 또한 물의 진입을 막기 위해 모래주머니, 물막이 등으로 진입로를 막아 보세요. 

 

그 외에 확인해 봐야 하는 것은 뭘까?

비상시에 정전을 대비하는 것도 중요해요. 집에 양초보다는 비상용 랜턴, 비상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게 중요해요. 응급용품 등을 넣은 가방을 미리 만들어 놓는 것도 좋아요. 상수도 공급이 자주 막히는 단수의 사례도 많아요.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 욕실 등에 물을 미리 사 두는 것도 중요해요. 식수용으로 식수를 사서 준비해 놓는 것도 필요한 부분이에요. 태풍시 배송업무가 마비될 불가할 확률이 커요. 집안에 비상물품이나 비상식량, 식재료를 미리 구비해 두는 것도 잊지 마세요. 또한 평소 자주 먹는 약이 있다면 병원을 미리 방문하여 확보해 두고 간단한 비상약품은 꼭 챙겨두세요. 어업을 하시는 우리 부모님들은 선박, 어로시설 등을 단단히 고정, 확보하시는 게 중요해요. 거주지 주변 산사태 위험이나 징후가 있었던 적이 있었다면 더 철저히 준비해야 해요. 

포인트: 정전에 대비하여 랜턴 등을 구비하고 응급용품 및 음식물, 식재료 등을 미리 확인하고 준비해 주세요. 

 

지금까지 태풍에 대비하는 우리들의 자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어요. 가장 중요한 것은 TV, 핸드폰 등을 통해 태풍시 태풍에 대한 지속적인 실시간 정보를 청취 및 확보하여 발 빠르게 대처하는 게 중요해요. 또는 국민재난안전포털 또는 어플 안전디딤돌에서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위 내용들 꼭 확인하셔서 우리 가족을 비롯하여 소중한 사람들을 안전하게 지키는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더 나아가 우리 가족뿐만이 아닌 이웃, 먼 친척까지 챙겨보는 건 어떨까요. 위험한 태풍이지만 미리 준비하여 안전하고 건강한 우리 가족 지킴이가 되시기 바라요.